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조선시대흙수저
- 딥시크
- j-10c
- AI
- 오픈AI
- 그록
- 세계대학평가
- QS대학평가
- 아시아대학순위
- 유심해킹
- QS대학순위
- 코오롱티슈진
- 티스토리애드센스
- axiom space
- jared isaacman
- 대학순위
- openweight
- 테슬라
- 김문수과거
- 코오롱생명과학
- skt해킹
- 저궤도위성
- RISC-V
- 강남역투신소동
- 인보사
- 생성형AI
- 브라질항공제조
- 오픈웨이트
- 챗지피티
- 젊은불교
- Today
- Total
목록2025/03 (27)
hultakai 님의 블로그

중국이 달 뒷면에 초대형 전파망원경을 짓는다! 왜? 어떻게?최근 중국이 달 뒷면에 초대형 전파망원경을 건설한다는 소식이 화제가 됐어요. 2025년 3월 20일부터 23일까지 여러 매체에서 보도된 내용인데, 중국 과학자들이 달 뒷면에 7,200개의 나비 모양 안테나로 이루어진 전파망원경 배열(array)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해요. 이게 대체 왜 중요한지, 어떻게 짓는지, 그리고 망원경의 스펙은 어떤지 하나씩 알아볼게요.중국이 왜 달 뒷면에 전파망원경을 짓는 걸까?달 뒷면에 전파망원경을 짓는 이유는 간단해요. 지구에서 방해 없이 우주를 더 잘 관측하기 위해서예요! 1. 과학적 이유 (겉으로 드러난 목적)지구의 방해가 없어요: 지구에서는 라디오 신호(휴대폰, Wi-Fi, 방송 등)나 대기 때문에 우주에서 오는..

세계 최초 망막 재생 성공! 어떻게 했을까?망막 재생, 어떻게 했지?최근 카이스트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망막 재생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화제가 됐어요! 망막은 눈 뒤쪽에 있는 얇은 막으로, 빛을 감지해서 뇌로 신호를 보내 시각을 만들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해요. 이 연구팀은 망막이 손상된 동물(특히 쥐)을 대상으로 실험했는데, 망막 안에 있는 뮬러 글리아(Müller glia)라는 세포를 활용했어요.뮬러 글리아의 역할: 뮬러 글리아는 망막을 지탱해주는 세포예요. 물고기나 개구리 같은 동물은 이 세포가 손상된 망막을 재생할 수 있게 도와주는데, 인간 같은 포유류는 이 기능이 거의 없어요.재생 과정: 연구팀은 뮬러 글리아를 신경전구세포로 바꾸는 방법을 찾았어요. 쉽게 말해, 뮬러 글리아를 "다시 태어나게" 해서..

비누 향기 때문에 뇌에 문제가? 시트로넬롤에 대해 알아보자!최근 뉴스에서 비누나 화장품의 꽃 향기가 뇌신경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그 주인공이 바로 시트로넬롤이라는 물질인데, 대체 이게 뭐길래 이런 이야기가 나온 걸까요? 하나씩 알아볼게요.시트로넬롤이 뭐야?시트로넬롤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향기 성분이에요. 주로 장미, 제라늄, 레몬그라스 같은 식물에서 추출되는데, 달콤한 꽃 향기나 상큼한 시트러스 향이 나요. 그래서 향수나 비누 같은 제품에 자주 들어가죠. 화학적으로는 "모노테르펜"이라는 성분으로, 식물이 해충을 쫓거나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만드는 물질이에요. 시트로넬라 오일(모기 퇴치제로 유명한 그 오일!)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이기도 해요.시트로넬롤은 어디에 사용돼?시트로넬..

안녕하세요, 여러분! 최근 과학계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맥신(MXene)"이라는 소재, 들어보셨나요? 이름부터 신비로운 이 물질은 원자 두께 수준의 2차원 나노 소재로, 놀라운 특성 덕분에 "꿈의 신소재"로 불리며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어요. 특히 한국 연구진들이 맥신의 대량생산 가능성을 열었다는 소식이 화제가 됐죠. 오늘은 블로그 독자님들께 맥신이 무엇인지, 왜 이렇게 주목받는지, 어디에 활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대량생산의 도전과 기회를 쉽게 풀어볼게요. 게다가 투자자 분들을 위해 맥신과 관련된 한국 기업 정보도 함께 소개할게요. 함께 알아볼까요?맥신(MXene)이란 무엇인가?맥신은 2011년 미국 드렉셀대학교 연구팀이 처음 발견한 2차원 나노 물질이에요. 이 소재는 "MAX"라는 층상 구조의 ..

안녕하세요, 여러분! 요즘 뉴스나 IT 관련 이야기를 들다 보면 "부다페스트 협약"이라는 단어가 종종 등장하죠. 이름만 들어도 뭔가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 사실 이건 우리 일상과도 꽤 연결된 중요한 약속이에요. 블로그에 올릴 글을 준비하면서,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부다페스트 협약이 뭔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풀어볼게요. 함께 알아볼까요?부다페스트 협약, 대체 뭐야?부다페스트 협약은 쉽게 말해 "사이버 범죄를 막기 위한 세계적인 약속서"예요. 2001년 11월 23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회의에서 유럽평의회(Council of Europe)라는 단체가 여러 나라들과 함께 만든 첫 번째 국제 사이버 범죄 조약이에요. 이 약속은 2004년 7월 ..

안녕하세요, 여러분! 최근 한국에서 생성형 AI의 인기가 급상승 중이에요. 와이즈앱·리테일·굿즈의 최신 조사(2025년 3월 발표)에 따르면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생성형 AI 앱 순위에 챗GPT, 에이닷, 뤼튼, 퍼플렉시티, MS 코파일럿, 클로드, 딥시크, 그리고 그록이 포함됐어요. 오늘은 이 8가지 AI의 개발 배경, 출시 연도, 특징, 장단점, 사용 용도, 그리고 홈페이지를 정리해볼게요. 블로그 독자분들께 유익한 정보가 되길 바라며, 함께 살펴보시죠!1. 챗GPT (ChatGPT)개발 배경 및 출시: 오픈AI(OpenAI)가 2022년 11월 30일 출시. 2015년 일론 머스크, 샘 알트먼 등이 설립한 연구 단체로,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최근 기사에서 흥미로운 주장을 봤어요. 실리콘밸리가 중국계·대만계와 인도계 인재들로 나뉘어 반도체와 소프트웨어 시장을 장악했다는 거예요. 특히 대만계와 중국계가 반도체, 인도계가 소프트웨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고 하니, 궁금증이 폭발했죠. 이 놀라운 분업은 어떻게 생겨난 걸까요? 대표적인 인물과 기업, 그리고 그들의 파워가 어디서 나오는지, 어떻게 수장에 자리 잡았는지 하나씩 파헤쳐볼게요. 이 글을 블로그에 올려 많은 분들과 함께 고민해보고 싶네요!어떻게 실리콘밸리를 나눠 가졌을까? 역사와 배경실리콘밸리가 중국계·대만계, 인도계로 나뉜 이유는 역사적, 경제적, 지정학적 요인이 얽혀 있어요. 20세기 중반부터 미국은 기술 혁신의 중심지로 성장하며 전 세계 인재를 끌어들였고, 아시아 국가..

안녕하세요, 여러분! 최근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이하 식약처)의 신약 허가 지연 문제로 논란이 뜨겁습니다. 놀라운 통계가 나왔는데요, 지난 한 달(2025년 2월 기준) 동안 미국 FDA는 신약 심사 승인을 100% 처리한 반면, 한국 식약처는 단 한 건도 승인하지 못했어요. 이는 혁신적인 신약 개발에 목을 매고 있는 국내 제약사들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주고 있어요. 사실상 "규제의 늪"에 빠진 셈인데, 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 한국 신약 허가 지연의 이유, 피해를 보고 있는 기업들의 근황, 그리고 한국과 미국 식약처를 비교하며 식약처의 문제를 날카롭게 비판해볼게요. 많은 분들이 이 문제를 인식하고 개선을 촉구했으면 좋겠습니다!한국 신약 허가, 왜 이렇게 느린 걸까?..

안녕하세요, 테크 블로그를 사랑하는 여러분! 최근 화웨이(Huawei)가 또 한 번 주목받고 있어요. 이번엔 윈도우 없이 자체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한 PC를 출시할 계획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IT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죠. 화웨이가 OS 독립에 나선 이유와 어떤 OS를 사용할지, 그리고 그 특징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볼게요. 화웨이의 도전이 성공할지, 함께 기대하며 살펴보시죠!화웨이가 OS 독립에 나선 이유는?화웨이의 OS 독립 선언은 단순한 기술적 도전이 아니라, 지정학적 상황과 생존 전략이 얽힌 결과로 보입니다. 핵심 이유는 다음과 같아요:미국의 제재: 2019년, 미국은 화웨이를 '엔티티 리스트'에 추가하며 Google의 Android와 Microsoft의 Windows 사용을 제한했어요...

안녕하세요, 투자자 여러분! 오늘은 코오롱티슈진이 개발 중인 관절염 치료제 티슈진(TG-C, 구 인보사)의 부활 소식과 그 여정을 소개해드릴게요. 한때 논란으로 주목받았던 이 신약이 이제는 글로벌 시장을 노리는 희망의 아이콘으로 떠오르고 있어요. 저는 티슈진의 성공 가능성을 확신하며, 여러분과 함께 이 여정을 긍정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코오롱티슈진, 코오롱생명과학, 그리고 지주사 코오롱의 역할까지 알기 쉽게 정리했으니, 끝까지 읽어보시고 투자 판단에 참고하세요!참고로 저는 코오롱생명과학에 약 4천만원 정도 투자를 했고 현재 수익중에 있습니다. 솔직히 코오롱티슈진을 투자 했어야 하는데 쫄보라.... 티슈진(TG-C)의 히스토리: 시련을 딛고 일어선 18년의 여정티슈진(TG-C, 과거 국내 제품명 인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