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딥시크
- 엠브라에르
- 티스토리애드센스
- 젠슨황
- 젊은불교
- 유심해킹
- 오픈AI
- 테슬라
- 대학순위
- 코오롱티슈진
- QS대학평가
- 챗지피티
- 조선시대흙수저
- 그록
- 인보사
- jared isaacman
- 오픈웨이트
- 일론머스크
- RISC-V
- QS대학순위
- 저궤도위성
- 테슬라주식
- Embraer
- 티슈진
- 코오롱생명과학
- 브라질항공제조
- openweight
- 세계대학평가
- AI
- 생성형AI
- Today
- Total
목록투자 (12)
hultakai 님의 블로그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왜 코오롱생명과학 주식에 투자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 회사의 주가가 왜 10배 상승할 잠재력이 있는지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코오롱티슈진이 최근 주목받았지만, 저는 코오롱생명과학이 다각화된 사업과 티슈진과의 시너지로 더 큰 기회를 제공한다고 확신합니다. 한때 30만원까지 갔던 주가는 인보사(티슈진) 리스크와 유상증자 등으로 인해 현재 2~3만원 사이를 왔다갔다 하고 있습니다만 지금이야 말로 저렴하게 매수할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합니다.코오롱생명과학은 어떤 회사?코오롱생명과학은 코오롱그룹의 바이오테크 선두주자로, 신약 개발, 다른 제약사의 약 생산을 돕는 CDMO(위탁개발생산), 그리고 항균제와 친환경 소재 사업을 통해 다양한 수익을 창출합니다. 자회사 코오롱티슈진과 협력하며 아시아..

인공지능(AI)의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AI를 뒷받침하는 강력한 반도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 시장에서 엔비디아(NVIDIA)가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새로운 도전자들이 등장하고 있죠. 그중에서도 텐스토렌트(Tenstorrent)는 혁신적인 기술과 오픈소스 철학으로 주목받는 AI 반도체 스타트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텐스토렌트가 어떤 회사인지, 무엇을 만드는지, 그리고 왜 주목해야 하는지 쉽게 풀어보겠습니다.텐스토렌트는 어떤 회사인가요?(https://tenstorrent.com/)텐스토렌트는 2016년 캐나다 토론토에서 설립된 팹리스(fabless) 반도체 설계 회사입니다. 팹리스란, 반도체 칩을 직접 생산하지 않고 설계와 개발에 집중하며, 제조는 삼성 파운드리나 TSMC 같은 전문..

오늘은 글로벌 무대로 뻗어나가는 국내 SaaS 스타트업, 샌드버드, 몰로코, 마크비전에 대해 소개하고, SaaS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들이 왜 세계로 나아가는지 알려드릴께요.SaaS가 뭐야?SaaS는 Software as a Service(서비스형 소프트웨어)의 약자예요. 쉽게 말해, 소프트웨어를 USB에 담아서 사거나 컴퓨터에 설치하는 대신, 인터넷으로 구독해서 사용하는 방식이에요. 예를 들어, 넷플릭스처럼 매달 돈을 내고 영화를 스트리밍하거나, 구글 드라이브처럼 클라우드에 파일을 저장하는 게 비슷한 개념이죠.SaaS의 장점은:편리함: 인터넷만 있으면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어요.비용 절감: 비싼 소프트웨어를 한 번에 사지 않고, 월정액으로 부담 없이!업데이트 쉬움: 서비스 제공자가 알아서 최신 버전으로..

유럽 최대 양자컴퓨터 제조사 IQM Quantum Computers(https://www.meetiqm.com/)가 한국에 진출한다는 소식을 들고 왔어요. 과연 IQM은 어떤 회사인지, 어떤 양자컴퓨터를 만들었는지, 한국 진출의 목적은 무엇인지, 그리고 투자 가치가 있는 회사인지까지 쉽게 풀어서 알려드릴게요. IQM은 어떤 회사이고 누가 설립했나?IQM Quantum Computers는 유럽에서 가장 큰 양자컴퓨터 제조사로, 핀란드 에스포(Espoo)에 본사를 두고 있어요. 2018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Aalto University와 VTT Technical Research Centre of Finland라는 두 연구 기관에서 스핀아웃(spin-out)된 스타트업이에요. 설립자는 얀 괴츠(Jan Goe..

요즘 AI 기술이 영상 제작 분야에서도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죠. 특히 대한민국에는 AI와 영상 기술을 결합한 스타트업들이 활발하게 활동 중이에요. 제가 아는 시나몬과 리얼드로우 외에도 어떤 기업들이 있는지 함께 알아볼게요!1. 시나몬 (Cinamon) - 3D 기반 AI 영상 제작의 선두주자 https://www.cinamon.io/시나몬은 2019년에 설립된 AI 영상 스타트업으로, 3D 기반 AI 영상 솔루션 ‘시네브이(CINEV)’를 개발하고 있어요. 시네브이는 사용자가 입력한 스토리를 기반으로 가상의 3D 공간에서 AI 기술을 통해 영상을 만들어주는 플랫폼이에요. 특히 사용자가 배우의 연기, 카메라 연출, 조명, 배경 등을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어서 누구나 영화 감독처럼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는..

토스, 창사 12년 만에 첫 흑자 달성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는 2024년 연결 영업수익 1조 9,556억 원, 영업이익 907억 원을 기록하며 창사 12년 만에 연간 흑자를 달성했어요. 출시 10년을 넘긴 토스가 드디어 수익성의 전환점을 맞은 거예요. 특히 토스뱅크와 토스증권 같은 계열사들이 흑자 행진을 이어가며 실적을 견인했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토스뱅크는 2024년 당기순이익 457억 원을 기록하며 2023년 적자(-175억 원)에서 큰 반전을 이뤘고, 토스증권은 무려 1,311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리며 전년 대비 100배 성장이라는 놀라운 성과를 냈어요. 미국 주식 투자 열풍 덕에 토스증권의 수수료 수익이 2,76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7%나 급증한 것도 큰 몫을 했죠. 이런 성과는..

안녕하세요, 여러분! 최근 과학계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맥신(MXene)"이라는 소재, 들어보셨나요? 이름부터 신비로운 이 물질은 원자 두께 수준의 2차원 나노 소재로, 놀라운 특성 덕분에 "꿈의 신소재"로 불리며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어요. 특히 한국 연구진들이 맥신의 대량생산 가능성을 열었다는 소식이 화제가 됐죠. 오늘은 블로그 독자님들께 맥신이 무엇인지, 왜 이렇게 주목받는지, 어디에 활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대량생산의 도전과 기회를 쉽게 풀어볼게요. 게다가 투자자 분들을 위해 맥신과 관련된 한국 기업 정보도 함께 소개할게요. 함께 알아볼까요?맥신(MXene)이란 무엇인가?맥신은 2011년 미국 드렉셀대학교 연구팀이 처음 발견한 2차원 나노 물질이에요. 이 소재는 "MAX"라는 층상 구조의 ..

안녕하세요, 여러분! 최근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이하 식약처)의 신약 허가 지연 문제로 논란이 뜨겁습니다. 놀라운 통계가 나왔는데요, 지난 한 달(2025년 2월 기준) 동안 미국 FDA는 신약 심사 승인을 100% 처리한 반면, 한국 식약처는 단 한 건도 승인하지 못했어요. 이는 혁신적인 신약 개발에 목을 매고 있는 국내 제약사들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주고 있어요. 사실상 "규제의 늪"에 빠진 셈인데, 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 한국 신약 허가 지연의 이유, 피해를 보고 있는 기업들의 근황, 그리고 한국과 미국 식약처를 비교하며 식약처의 문제를 날카롭게 비판해볼게요. 많은 분들이 이 문제를 인식하고 개선을 촉구했으면 좋겠습니다!한국 신약 허가, 왜 이렇게 느린 걸까?..

안녕하세요, 투자자 여러분! 오늘은 코오롱티슈진이 개발 중인 관절염 치료제 티슈진(TG-C, 구 인보사)의 부활 소식과 그 여정을 소개해드릴게요. 한때 논란으로 주목받았던 이 신약이 이제는 글로벌 시장을 노리는 희망의 아이콘으로 떠오르고 있어요. 저는 티슈진의 성공 가능성을 확신하며, 여러분과 함께 이 여정을 긍정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코오롱티슈진, 코오롱생명과학, 그리고 지주사 코오롱의 역할까지 알기 쉽게 정리했으니, 끝까지 읽어보시고 투자 판단에 참고하세요!참고로 저는 코오롱생명과학에 약 4천만원 정도 투자를 했고 현재 수익중에 있습니다. 솔직히 코오롱티슈진을 투자 했어야 하는데 쫄보라.... 티슈진(TG-C)의 히스토리: 시련을 딛고 일어선 18년의 여정티슈진(TG-C, 과거 국내 제품명 인보사)..

안녕하세요! 최근 삼성전기가 차세대 유리기판 시생산(파일럿 라인 가동)에 임박했다는 소식이 화제가 되고 있어요.이게 뭔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삼성전기의 역할이나 투자 관점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삼성전기, 차세대 유리기판 시생산 임박!!최근 삼성전기가 세종에서 유리기판 시생산 라인을 가동할 준비를 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어요. “유리기판? 그게 뭔데?”라고 궁금하실 텐데요, 오늘은 이 차세대 기술이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삼성전기의 역량은 어떤지, 그리고 국내외 상황과 투자 관점까지 쉽게 풀어볼게요!1. 차세대 유리기판, 대체 뭐야?유리기판은 반도체를 만들 때 쓰이는 기판(기초 재료)을 기존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대신 유리로 바꾼 거예요. 유리는 표면이 매끄럽고 열에 강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