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생성형AI
- jared isaacman
- 코오롱티슈진
- 테슬라
- 저궤도위성
- 대학평가
- 세계대학평가
- 세계대학순위
- 오픈AI
- 대학순위
- 조선시대흙수저
- 코오롱생명과학
- 유심해킹
- QS대학평가
- llama
- RISC-V
- 챗지피티
- openweight
- 화웨이
- 일론머스크
- AI
- 그록
- 오픈웨이트
- 딥시크
- 젠슨황
- QS대학순위
- 티스토리애드센스
- Huawei
- 테슬라주식
- 인보사
- Today
- Total
hultakai 님의 블로그
시그널(Signal) 메신저 왜 사용하는가? 본문

시그널(Signal) 누가 만들었고, 왜 만들었나?
시그널은 암호화된 메시징 앱으로, 개인 정보 보호와 보안을 최우선으로 설계됐어요. 이 앱은 Moxie Marlinspike라는 보안 전문가와 Brian Acton(WhatsApp 공동 창립자)이 주도해 만들었으며, Signal Foundation이라는 비영리 단체에서 운영합니다. 처음에는 2013년 Moxie가 Open Whisper Systems라는 이름으로 시작했고, 2018년에 Brian Acton이 5천만 달러를 투자하며 Signal Foundation을 설립해 본격적으로 발전시켰어요.
만든 이유는 간단해요. 인터넷 시대에 개인 정보가 쉽게 노출되는 현실에서, 누구나 안전하고 비밀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 싶었기 때문이에요. 특히 Brian Acton은 WhatsApp이 페이스북에 인수된 후 사용자 데이터를 상업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에 반대하며, 진정한 프라이버시를 지키는 대안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시그널의 원리는 무엇인가?
시그널의 핵심은 종단간 암호화(End-to-End Encryption, E2EE)예요. 이게 뭔지 쉽게 설명하면:
- 내가 메시지를 보내면, 내 기기에서 암호화돼서 상대방 기기에 도착할 때만 풀립니다.
- 중간에 서버나 제3자가 절대 내용을 볼 수 없어요. 심지어 시그널 회사 자체도 못 봅니다!
시그널은 Signal Protocol이라는 독자적인 암호화 기술을 사용해요. 이 기술은 WhatsApp, Google Messages 같은 앱에도 채택될 만큼 신뢰받고 있죠. 또, 메시지 외에 프로필 사진, 그룹 정보 같은 메타데이터도 최소화해서 저장하니까 추적당할 가능성이 훨씬 적습니다.
왜 비밀 대화에 사용하나?
시그널이 비밀 대화에 적합한 이유는:
- 완벽한 암호화: 메시지가 도청당할 걱정이 없어요.
- 최소 데이터 수집: 전화번호 외에는 거의 정보를 저장하지 않아요. 예를 들어, WhatsApp은 메타데이터(누구와 언제 대화했는지)를 남기지만, 시그널은 그마저도 안 남깁니다.
- 자동 삭제 기능: 메시지를 읽은 후 일정 시간 뒤 사라지게 설정할 수 있어 흔적을 지울 수 있어요.
- 오픈소스: 앱 코드가 공개돼 있어서 보안 전문가들이 검증할 수 있고, 숨겨진 취약점이 있을 가능성이 낮아요.
그래서 기자, 활동가, 정부 관계자처럼 민감한 대화를 보호해야 하는 사람들이 애용하죠.
정말 해킹이나 보안에 강한가?
시그널은 현재까지 암호화 자체가 뚫린 사례가 없어요. 보안 전문가들 사이에서 가장 안전한 메신저로 꼽히는 이유예요. 하지만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어요:
- 피싱 공격: 해커가 가짜 링크로 속여 기기에 접근하면 메시지를 볼 수 있어요. 이건 앱 문제라기보단 사용자 실수죠.
- 기기 해킹: 누가 내 폰을 직접 해킹하거나 훔치면 암호화된 메시지를 읽을 수 있어요. 이건 시그널의 약점이 아니라 모든 앱의 한계예요.
2022년에는 Twilio(시그널이 사용하는 인증 서비스) 해킹으로 1,900명 정도의 전화번호가 유출된 적이 있었지만, 메시지 내용은 보호됐어요. 이런 사건에서도 시그널의 암호화가 뚫리지 않았다는 점이 보안성을 입증해줍니다.
회사는 어떻게 돈을 버나?
시그널은 비영리 단체라서 돈을 버는 게 목표가 아니에요. 수익 모델은:
- 기부: 사용자와 지지자들의 자발적인捐款으로 운영돼요. 앱 내에서 "기부하기" 버튼을 통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어요.
- 초기 투자: Brian Acton의 5천만 달러를 시작으로,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개인이나 단체의 후원을 받아요.
- 광고나 데이터 판매 없음: WhatsApp이나 페이스북처럼 광고나 사용자 데이터를 팔지 않아요. 이게 시그널의 철학이에요.
운영비는 서버 유지, 개발자 인건비 등에 쓰이는데, 2023년 기준 연간 약 4천만 달러 정도 든다고 밝혔어요. "프라이버시는 비싸지만 소중하다"는 모토로 기부에 의존하며 성장 중입니다.
한 줄 정리
"시그널은 Moxie와 Brian이 프라이버시를 지키려고 만든 비영리 메신저예요. 강력한 암호화와 최소 데이터로 비밀 대화를 보호하고, 해킹에도 튼튼하지만 기부로만 운영되죠."
'비지니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현(県)과 시(市) 명칭이 똑같은 이유, 알고 보니 이렇게 간단해! (3) | 2025.04.04 |
---|---|
빌려 쓰는 슈퍼파워: GPUaaS의 모든 것 (0) | 2025.04.03 |
2024년 Top 100 Worldwide Universities Granted 대학 순위(한국대학 포함) (0) | 2025.04.03 |
오픈소스 vs 오픈웨이트, 뭐가 다를까? AI 모델의 개방 방식을 알아보자! (4) | 2025.04.02 |
오픈AI, 경쟁사 추격에 개방형 모델로 전환? 무슨 일일까? (4) | 2025.04.02 |